무도비즈니스타임즈 안병철 기자 |
인터뷰 기사
“‘펀이볼’, 모두가 주인공이 되는 스포츠를 만들고 싶었습니다”
— 오응수 동아대 교수 인터뷰
2025년 8월, 서울에서 열린 국제학회. 무더운 여름날 같은 테이블에 앉은 오응수 동아대학교 스포츠학과 교수를 만났다. 짧은 인사 후 자연스럽게 이야기는 그가 직접 만든 새로운 뉴스포츠, ‘펀이볼(Funny Ball)’로 이어졌다.
경쟁 아닌 참여, 펀이볼의 철학
Q. 펀이볼은 어떻게 탄생하게 되었습니까?
“저는 오랫동안 대학에서 체육학을 가르쳐왔습니다. 그런데 학교 체육 수업을 보면 늘 아쉬움이 있었어요. 운동을 잘하는 학생들만 빛을 보고, 그렇지 못한 아이들은 소외되는 현실이었죠. 그래서 ‘누구도 아웃되지 않고, 끝까지 함께 즐길 수 있는 스포츠’를 만들고 싶었습니다. 그 결과물이 바로 펀이볼입니다.”
FUN & EASY, 간단하지만 협동적인 경기
Q. 펀이볼의 특징은 무엇인가요?
“이름부터 FUN(재미)과 EASY(쉬움)을 담았습니다. 경기는 서브를 넣는 선수가 ‘펀이!’라고 외치면 상대가 ‘볼!’이라고 응답하면서 시작돼요. 팀은 3~6명으로 구성되고, 공은 반드시 서로 다른 3명 이상이 7회 이내에 터치해야 합니다. 2명 이하만 터치해 넘기면 실점이 되죠. 또 4명 이상이 마지막 공격에 성공하면 2점을 얻습니다. 이런 규칙 덕분에 누구도 빠지지 않고, 모두가 참여하게 됩니다.”
교육과 현장에서 실천하는 교수
Q. 교수님은 연구뿐 아니라 현장에서도 적극적으로 활동하고 계신데요.
“저는 교단에서만 머무르는 교수보다는, 교육과 현장을 연결하는 실천형 교수가 되고 싶었습니다. 펀이볼은 그 과정에서 나온 성과이기도 하지요. 현재 전국 약 400여 개 학교에서 펀이볼을 활용하고 있고, 교원 연수와 예비교사 교육을 통해 확산되고 있습니다. 펀이볼은 협동심과 순발력, 대·소근육 발달에 도움이 되기 때문에 교육적으로도 큰 의미가 있습니다.”
세계로 향하는 발걸음
Q. 앞으로의 계획은 무엇입니까?
“내년에 안식년을 맞이합니다. 그 시간을 활용해 중국, 필리핀 등 해외 관심 지역을 직접 방문해 펀이볼을 알릴 계획이에요. 현지에서 시범 운영을 통해 규칙을 더욱 세밀하게 다듬고, 국제적으로 통용될 수 있는 표준안을 만들고 싶습니다. 또한 대학원에서 박사학위를 받은 제자들에게도 이 과정이 연구와 현장의 좋은 기회가 될 거라 생각합니다. 학문이 현장과 연결되는 경험을 제자들과 나누고 싶습니다.”
체육의 본질은 ‘즐거움’
Q. 교수님이 펀이볼을 통해 전하고 싶은 메시지는 무엇일까요?
“체육의 본질은 즐거움이라고 생각합니다. 누군가만 잘하고, 누군가는 아웃되어 소외되는 것이 아니라, 모두가 함께 웃으며 끝까지 참여할 수 있어야 합니다. 펀이볼은 그 철학을 담은 스포츠입니다. 앞으로도 더 많은 이들이 펀이볼을 통해 체육의 즐거움을 경험했으면 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