무도비즈니스타임즈 안병철 기자 | 해외 태권도 1세대, 이관영 사범의 삶과 철학프랑스에서 56년간 태권도를 지도하며 민간외교관 역할을 해온 열정의 지도자 해외 태권도의 개척자 9월 늦은 여름 오후. 아직까지 더운 기운이 가시지 않은 날, 서울시 영등포구에 위치한 이관영한국무술연소원을 찾았다. 해외에서 수십 년간 태권도를 지도해온 내공은 무시할 수 없는 카리스마와 동시에 부드러움이 어우러져 있었다. 마치 역전의 용사를 만난 듯한 느낌이었고, 그의 말과 눈빛에서는 태권도에 대한 깊은 열정과 애국심이 묻어났다. 오랜 세월 타지에서 한국을 알리며 살아온 그의 삶이 자연스럽게 그런 애국자의 모습을 만들어낸 것임을 실감할 수 있었다. 이관영 관장은 1966년 월남 파병을 다녀온 뒤, 청도관 중앙도장에서 사범으로 임명받으며 태권도의 길에 들어섰다. 이후 더 큰 꿈을 품고 경기도 동두천 미군부대에서 영어로 태권도를 지도하며 국제무대에 나설 준비를 했다. 영어에 능통했던 그는 1969년 프랑스로 파견되었고, 당시 유럽에는 태권도가 전혀 알려지지 않았던 시기였다. 그는 홀로 가방 하나를 메고 기차를 타며 유럽 전역을 돌며 태권도를 알리는 여정을 시작했다. “그때는 태권도가 존
무도비즈니스타임즈 안병철 기자 | 인터뷰 기사 “‘펀이볼’, 모두가 주인공이 되는 스포츠를 만들고 싶었습니다” — 오응수 동아대 교수 인터뷰 2025년 8월, 서울에서 열린 국제학회. 무더운 여름날 같은 테이블에 앉은 오응수 동아대학교 스포츠학과 교수를 만났다. 짧은 인사 후 자연스럽게 이야기는 그가 직접 만든 새로운 뉴스포츠, ‘펀이볼(Funny Ball)’로 이어졌다. 경쟁 아닌 참여, 펀이볼의 철학 Q. 펀이볼은 어떻게 탄생하게 되었습니까? “저는 오랫동안 대학에서 체육학을 가르쳐왔습니다. 그런데 학교 체육 수업을 보면 늘 아쉬움이 있었어요. 운동을 잘하는 학생들만 빛을 보고, 그렇지 못한 아이들은 소외되는 현실이었죠. 그래서 ‘누구도 아웃되지 않고, 끝까지 함께 즐길 수 있는 스포츠’를 만들고 싶었습니다. 그 결과물이 바로 펀이볼입니다.” FUN & EASY, 간단하지만 협동적인 경기 Q. 펀이볼의 특징은 무엇인가요? “이름부터 FUN(재미)과 EASY(쉬움)을 담았습니다. 경기는 서브를 넣는 선수가 ‘펀이!’라고 외치면 상대가 ‘볼!’이라고 응답하면서 시작돼요. 팀은 3~6명으로 구성되고, 공은 반드시 서로 다른 3명 이상이 7회 이내에 터치
무도비즈니스타임즈 안병철 기자 | “태권도는 결국 나를 이기는 싸움”태강원·청지회 강익필 사범 인터뷰 태권도의 본질에 대하여 2025년 무더위가 한창이던 8월의 어느 오후, 서울 강서구의 한 도장을 찾았다. 오후 2시, 전국 태권도장에서 수련이 막 시작될 시간. 그곳에는 대한민국을 대표하며 세계적으로도 귀감이 되는 태권도의 살아 있는 레전드, 강익필 사범이 있었다. 태권도에 대한 그의 몰입과 열정은 단순한 애정을 넘어선다. 그 모습은 마치 평생을 태권도에 바쳐온 장인의 ‘덕후’적 집념과도 같았다. 그의 이야기를 듣고 있자니, 태권도가 단순한 무도가 아니라 시대와 세대를 넘어 더욱 깊이를 더하고, 한국 사회와 세계 무대에서 빛나는 문화유산으로 자리매김하고 있음을 실감하게 된다. 그 순간, 앞으로 대한민국과 태권도의 미래는 분명 밝으리라는 확신이 가슴 속에 자리잡았다. 주차를 마치고 수십 년의 역사를 품은 건물 앞에 서자, 아담하면서도 단단한 기운이 느껴졌다. 그곳에는 오랜 세월 태권도와 함께 걸어온 강익필 사범의 모습이 담겨 있는 듯했다. 1층에서 2층 메인 수련관까지 이어진 공간은 정갈하고 깔끔하게 정돈되어, 도장의 품격과 정신을 그대로 드러내고 있었다. 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