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발걷기, 과학이 증명한 자연 건강법”

  • 등록 2025.09.10 23:55:33
크게보기

발 근육 강화부터 스트레스 완화까지… 학술 연구로 본 맨발걷기의 효과

무도비즈니스타임즈 안병철 기자 |

 

맨발걷기, 자연이 주는 최고의 건강 선물

 

서울숲이나 주변 공원에서 맨발로 걷는 이들을 심심치 않게 볼 수 있다. 최근 들어 ‘맨발걷기(접지·Earthing)’가 건강 관리법으로 주목받으면서, 단순한 취미를 넘어 과학적·교육적 효과를 뒷받침하는 연구 결과들이 속속 발표되고 있다. 맨발걷기가 몸과 마음에 어떤 변화를 가져오는지 학술적 근거를 중심으로 살펴본다.

 

 

발 근육 강화와 균형 능력 개선

 

신발이 제공하던 지지대를 벗고 땅을 직접 밟으면, 발바닥의 작은 근육과 인대들이 자연스럽게 활성화된다. 이는 발의 안정성과 균형 유지 능력을 향상시키며, 특히 노년층의 낙상 위험을 줄이는 효과가 있다고 알려져 있다. 실제 연구에서는 맨발걷기를 통해 보행 패턴이 교정되고 자세가 더 자연스러워진다는 결과가 보고됐다.

 

관절 부담 완화와 올바른 보행 회복

 

두꺼운 신발 밑창은 충격을 흡수하는 동시에 인체 고유의 보행 메커니즘을 왜곡한다. 반면 맨발로 걷는 것은 발가락부터 발뒤꿈치까지의 자연스러운 움직임을 되찾게 한다. 일부 연구에서는 무릎 관절염 환자들이 맨발걷기를 통해 관절 압력이 줄고 통증이 완화되었다는 결과를 제시했다. 이는 관절 건강 관리 차원에서도 맨발걷기가 긍정적 영향을 미친다는 점을 시사한다.

 

혈액순환 개선과 항산화 작용

 

국내외 연구에 따르면 맨발걷기는 혈액 내 적혈구의 응집 현상을 완화시키고, 혈류 흐름을 원활하게 만드는 효과가 있다. 또한 ‘접지 효과’로 불리는 생리적 반응은 체내 전자 흐름을 안정화시켜 활성산소를 중화하고 염증을 억제하는 데 도움을 준다. 특히 멜라토닌 분비가 촉진되어 면역력 강화와 수면 질 향상에도 기여한다는 학술적 해석이 제시되고 있다.

 

정신 건강과 인지 기능 향상

 

맨발로 걷는 경험은 단순한 운동을 넘어 감각적 체험으로 이어진다. 흙, 잔디, 돌의 촉감을 느끼며 걷는 과정은 스트레스를 완화하고 심리적 안정감을 제공한다. 청소년을 대상으로 한 연구에서는 맨발걷기 프로그램 참여 후 집중력과 인지 속도가 향상되었다는 결과도 보고됐다. 이는 교육적 측면에서 학생들의 정서 함양과 학습 집중력 향상에 응용될 수 있다.

 

새로운 심리적 효과: 집중과 스트레스 해소

 

맨발걷기를 처음 경험하는 이들은 흔히 발바닥에 느껴지는 자극—잔디의 까슬거림, 흙의 따뜻함, 자갈의 따끔거림—에 강하게 주의를 빼앗긴다. 이 과정에서 머릿속을 가득 채우던 잡념과 고민은 자연스럽게 사라지고, 오로지 ‘발촉감’에만 집중하게 된다.

 

심리학적으로 이는 감각 집중(Mindfulness)과 유사한 효과를 낳는다. 불안이나 스트레스에서 벗어나 현재의 몸과 감각에 몰입하게 되는 것이다. 실제로 여러 명상 기법에서 ‘발바닥의 감각을 의식하기’ 훈련을 활용하는 것도 같은 맥락이다. 따라서 맨발걷기는 단순한 신체 운동을 넘어, 정신적 안정과 스트레스 해소에도 기여할 수 있다.

 

주의할 점

 

다만 맨발걷기에는 유리 파편, 세균 감염, 족저근막염 악화 등의 위험이 뒤따를 수 있다. 전문가들은 안전한 장소에서 점진적으로 시작할 것을 권고하며, 필요 시 최소한의 신발(미니멀 슈즈)을 활용하는 방법도 제시한다. 특히 당뇨병 환자처럼 발 건강이 취약한 경우에는 전문가 상담이 필수적이다.

 

결론

 

맨발걷기는 단순한 유행이 아닌, 과학적·교육적 근거를 갖춘 자연 건강법으로 자리매김하고 있다. 발과 관절 건강 증진, 혈액순환 개선, 스트레스 완화, 집중력 향상까지 그 효과는 다방면에서 확인되고 있다. 안전수칙을 지키며 생활 속에 맨발걷기를 도입한다면, 우리는 도시 속에서도 자연이 주는 건강 선물을 누릴 수 있을 것이다.

안병철 기자 cashin76@hanmail.net
Copyright @무도비지니스타임즈 Corp. All rights reserved.

주소 : 서울시 양천구 목동 766-2 등록번호: 서울,아55280 | 등록일 : 2024-01-29 | 발행인 : 안병철 | 편집인 : 안병철 | 전화번호 : 010-5335-4962 청소년보호책임자 : 안병철 무도비지니스타임즈는 모든 콘텐츠(영상,기사,사진)는 저작권법의 보호를 받는 바, 무단 전재, 복사, 배포 등을 금합니다. Copyright @무도비지니스타임즈 Corp. All rights reserved.